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물류 창고직 업무 봐주세요 (미국 인턴)
현재 미국 인턴 준비중인 무역학과 학생이고 최종적으로는 한국에서 물류 운영 관리/SCM 관리 사무직으로 취업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사무직이 아닌 창고직으로 가서 아래의 주요 업무와 환경에서의 경험이 도움이 될지 고민되어 몇 가지 질문 드립니다. 1. 아래 주요 업무를 봤을 때, 직무경험이 없어 정확히 어떠한 일을 하는 것인지 감히 잡히지 않습니다. 그냥 단순히 힘 쓰고 쿠팡 단기 아르바이트와 같은 일을 하게 될까요? 2. 이러한 경험이 추후 한국에서의 취업에도 도움이 될까요? 물류 창고직 경험이 사무직 지원 시에도 어느 방향으로나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3. 해외 인턴 경험 자체가 인생에서 중요한 경험일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지만, 원하지 않는 근무환경에서 일을 하는 것이 옳은 선택일까요? 업무 -원부자재 및 완제품 입출고 준비 및 관리 -원부자재 분류 및 생산라인 투입 -재고실사 보조 -창고 청결 유지 및 보관 공간 최적화 *하루 12시간 주야 교대근무 *사택 제공
2024.11.09
답변 4
- 신신뢰의마부두산에너빌리티코사장 ∙ 채택률 91%
안녕하세요 멘티님, 1.그렇다고 볼순 없지만 현장을 알기 위해서 가끔 라인 투입해서 작업을 시켜보기도 합니다. 물류센터에 입고 처리하고 이 물량들을 효율적으로 배치, 적치, 전산화하는 과정이 있고요. 그 이후 유통기한 관리부터 수량, 전산 업데이트 등 일종의 물류관리 과정이 있습니다. 2.한국 물류쪽에 CJ나 쿠팡,컬리,다이소 같은데나 크게나 LX판토스 같은데 있으니 취업은 괜찮으실수 있습니다. 3.주야 12시간은 한국도 힘든데 해외라서 어려우실겁니다. 해외인턴도 영어잘쓰는 환경이라 좋습니다.
함께 읽은 질문
Q. PLC 취업 준비, 무엇부터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지방대 전기공학과 3학년 2학기에 복학한 25살 학생입니다. 앞으로 직무를 정할 때 PLC 직무(자동제어·장비 엔지니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현재 학점 관리와 영어성적, 전기기사 자격증을 준비 중입니다. 우선, 교수님 연구실(PLC/HMI 실습 중심)에 들어가면 취업에 도움이 될지 고민됩니다. 아니면 방학 중 학원·국비과정에서 하는 PLC 실무교육도 고려 중인데, 실제로 현업에서 가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PLC 직무 준비에 연구실 경험이 취업에 도움이 될지, 아니면 수업+자격증+학원 과정으로도 충분할까요..? PLC도 LS, Siemens, Mitsubishi 등 종류가 많은데, 요즘 취업 준비생 입장에서 어떤 걸 먼저 배우는 게 현실적으로 가장 도움이 될까요? 현장에서는 PLC뿐 아니라 HMI, SCADA, AI·스마트팩토리 같은 것들도 뜬다고 하는데, 지금 단계에서 어느 정도까지 준비해야 할까요? 현직자분들의 경험과 조언 부탁드릴게요..!
Q. 객관적인 스펙평가 부탁드립니다
학교: 경희대 산업공학과, 기계공학과(복수전공) 8월 졸업예정 학점: 4.14/4.5 어학: 오픽 AL, 토익 990(만료), JLPT N1 인턴: 반도체 장비사 QA 인턴 6개월, 제약회사 QA 인턴 3개월 자격증: 없음 (하반기에 품질경영기사, ADsP, 빅데이터분석기사 취득예정) 수상: 없음 지원결과 삼성전자 DX 평분 서류 탈 현대차 아산 품질관리 서류 탈 LG에너지솔루션 품질 서류 탈 하이닉스 이천 양산기술 P&T 서류 탈 LX판토스 해외인턴(물류, 포워딩) 인적성 합(면접 대기중) 현대로템 철차품질 결과 대기중 기아자동차 품질보증 결과 대기중 물론 탑티어 대기업만 골라서 넣었고, 요즘 채용시장이 어려운 것은 알고 있지만, 지원한 회사에서 모두 서류 탈락을 한 이유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자소서에서 충분히 어필을 하지 못한 것인지, 아니면 제 스펙에 부족함이 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소서에는 반도체 인턴당시 불량률을 줄인 경험을 메인으로 썼습니다.
Q. 에칭 레시피를 수정하여 target과 pr의 선택비를 개선한 경험
이것도 공정기술 직무의 업무에 포함될 수 있을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